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개발
- 디자인패턴
- 한빛미디어
- 프로그래밍
- 리눅스
- Code Generation
- vscode
- python
- 도커
- 개발자도서
- 도서
- dart
- linux
- manim
- 유데미 러닝크루
- 파이썬
- 유데미
- 책
- 수학 애니메이션
- 위젯
- 가상환경
- ai
- flutter
- 코딩
- docker
- 명령어
- 다트
- command
- 개발자
- 플러터
- Today
- Total
승상의 코딩 블로그
[Linux] watch 주기적으로 명령 실행 본문
2024.12.02 - [Linux (리눅스)] - [Linux] netstat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Linux] netstat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TCP 연결 종료에 대한 예외처리를 하지 않아서 UI 상에서 연결이 되었다고 뜨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당시에 당연히 연결이 된줄 알고 "왜 데이터가 보내지지 않는거지?" 했던 기억이 있다.프로
seungsang.tistory.com
위의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게되면, 계속해서 명령을 실행해서 모니터링하면 편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럴 때 watch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명령어 사용방법
watch -n 1 -d netstat -antp
# watch [options] command
-n : 초단위의 업데이트 주기 설정 (최소 0.1초 이상) ex. -n 1 : 1초마다 업데이트
-d : 변경된 부분을 하이라트 표시를 해준다.
watch 명령을 수행하면 콘솔화면 전체에 출력값이 시현된다.
상단 좌측에 Every 1.0s : netstat -antp 는 매 1초마다 netstat -antp 명령어를 수행한다라는 정보가 있다.
상단 우측에는 매 1초마다 시간이 업데이트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종료는 ctrl + c 를 누르면 된다.
-d 옵션을 활용하면 이렇게 변경사항이 일어났을 때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추가
watch -n 1 -d=cumulative netstat -antp
-d=cumlative 를 사용할 경우, 변경사항으로 하이라이트된 부분이 사라지지 않는다.
하이라이트된 정보가 존재하지 않아도 출력창에서 정보가 존재하므로 유의하길 바란다.
네트워크 상태외에도 메모리 사용량, 서버 부하 모니터링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잘 활용해보자.
'Linux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netstat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0) | 2024.12.02 |
---|---|
[Linux] nc 네트워크 도구 (0) | 2024.12.02 |
가상환경 설정 시 Virtualization(가상화)와 Emulation(에뮬레이션) 차이 (0) | 2024.10.20 |
[Linux] 초기 root 계정 비밀번호 변경하는 방법 (2) | 2024.09.19 |
[Linux] - 출력 재지정 (0)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