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명령어
- 한빛미디어
- linux
- 프로그래밍
- dart
- 리눅스
- 유데미
- ai
- 도커
- 수학 애니메이션
- 가상환경
- 플러터
- 다트
- 책
- 코딩
- 파이썬
- docker
- 도서
- flutter
- vscode
- 개발자도서
- 개발자
- 유데미 러닝크루
- 디자인패턴
- 개발
- manim
- command
- Code Generation
- python
- 위젯
- Today
- Total
승상의 코딩 블로그
파이썬에서 가상환경 사용하기 (venv 사용) 본문
가상환경
가상환경은 파이썬과 그 패키지를 격리할 수 있다.
패키지를 격리함으로써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고 하자. 하나의 프로젝트는 A 라이브러리의 1.x 를 사용해야 하는데, 다른 프로젝트는 A 라이브러리의 2.x 를 사용해야 한다면, 디펜던시 충돌이 일어난다. 가상환경을 통해, 각 프로젝트가 의존 라이브러리가 있는 환경으로 구성해줄 수 있다.
(라이브러리가 업데이트되면서, 기능이 삭제되거나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등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므로, 각 프로젝트가 의존하는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가상환경 설정
파이썬을 설치하면 가상환경 설정을 위한 venv 모듈을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가상환경이 설치된다.
python3 -m venv <가상환경 이름>
실제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을 실행한 곳에 <가상환경 이름>으로 폴더가 생성된다.
폴더 안에는 bin, inclue, lib, pyvenv.cfg 파일이 들어있다.
bin/ : 파이썬 실행파일이 있고 폴더 내부의 파일을 실행하면 가상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lib/ 와 include/ : 가상환경의 파이썬의 라이브러리 파일들이다. 가상환경에서 pip 으로 새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경우, lib 에 설치된다.
pyvenv.cfg : venv의 가상환경 설정파일이다. 예를 들어, 가상환경을 구성할 때 사용된 파이썬 경로가 있다.
가상환경 활성화/비활성화
source bin/activate [맥일 경우]
.\Scripts\activate.bat [윈도우 cmd일 경우]
.\Scripts\Activate.ps1 [윈도우 Powershell일 경우]
bin/activate 파일을 실행시키면, 가상환경이 실행된다. 가상환경이 실행될 경우, 가상환경의 이름이 쉘 앞쪽에 표기된다.
비활성화할 경우에는 source bin/deactivate 를 입력하면 된다.
'Python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lf 의 역할 (함수의 메모리) (0) | 2023.01.23 |
---|---|
파이썬 - dataclass(데이터클래스) (0) | 2022.12.31 |
파이썬 - Type Hint(or Type Annotation) 를 사용하는 이유 (2) | 2022.12.25 |
파이썬 - Enum (0) | 2022.12.22 |
파이썬 - 왈러스 연산자(Walrus Operator) :=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