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딩
- 개발자
- 리눅스
- dart
- python
- 개발
- vscode
- 도서
- 위젯
- 플러터
- command
- 한빛미디어
- 도커
- flutter
- 수학 애니메이션
- 유데미 러닝크루
- 프로그래밍
- 개발자도서
- 책
- linux
- 명령어
- 다트
- Code Generation
- ai
- 가상환경
- 파이썬
- docker
- 디자인패턴
- 유데미
- manim
- Today
- Total
승상의 코딩 블로그
커서 AI 사용 후기 - 이미지 위치 기반 자산관리 웹사이트 개발 본문
Cursor.. Cursor... 유튜브에 정말 많이 뜬다.
몇달 전부터 유명했지만, 초기엔 항상 개선되는 사항들이 많기 때문에 조금 있다가 사용해본다.
시간이 조금 지난 상태에서 바이브 코딩까지 유행하고 있기 때문에 Cursor 를 사용해봤다.
현재 시점에서 VsCode 보다 약간 떨어지는 사용성 빼고는 커서 AI 에 매우 만족하고 있다.
이번에 AI 를 활용해서 평소 내가 필요했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Cursor 는 처음 가입시 유료 플랜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Cursor 를 처음 활용하다보니 사용량을 모두 사용해 버려 결제를 했다.
처음 가입할 때 할당된 사용량이 리셋되었는데도 1달 사용량의 절반을 썻다.
느낀점
커서 AI 를 쓰면서 몇가지 느낀점이 있다.
- 코드를 잘 짜주고 에러도 잘 해결한다. 그러나, 에러가 한 두번 시도 안에 해결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실패한다.
예를 들어, '1' 의 항목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떳다. 이를 그대로 커서에 넣고 수정해달라고 하니, '2' 로 송신하게 변경했다. 다시 에러를 넣으면 '3'으로 송신하게 변경했다.
웹은 인덱스(1)로 보내지만 서버는 문자열("사내망")로 받았기때문에 생긴 에러였지만, 커서는 해결하지 못했다.
직접 원인을 찾아서 입력했을 때는 정상적으로 수정해주었다. - 에러가 계속해서 해결되지 않으면 코드가 복잡해진다.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해서 이것저것 수정을 한다. 요청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요청 전으로 돌려서 다시 요청했다. -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다른 부분도 건드린다.
특정 부분의 버튼을 삭제해달라고 했는데, 다른 부분의 버튼도 삭제했다. 다시 복구한 뒤, 특정 부분의 버튼'만' 삭제해달라고 하니 정확히 내 요청을 수행헀다.
커서 활용
나는 AI로 자산관리 사이트를 만들었다.
기존의 자산관리 사이트와는 약간 다르다. 사내 시스템도 그렇고, 오픈소스도 자산을 텍스트 형태의 항목으로만 관리한다.
하지만, 내가 관리하는 자산은 시험실 자리확보, 수리 등으로 자산의 위치가 자주 바뀐다.
이를 해결하고자, 이미지를 추가하여 이미지를 위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자산관리 시스템을 만들었다.
아래는 커서AI 를 통해 웹사이트를 생성한 과정이다.
FastApi 와 Jinja2 를 활용했다.
초기엔 아래의 디자인과 같았다. 버튼이 있지만,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추가적인 사항은 계속해서 채팅을 통해 개선해 나갔다.
그러다 에러로 인해 막힐 때도 있었다.
기능을 계속 추가하다보니, 다른 코드를 건드려서 그런것 같다.
에러가 떳을 때, 단순 에러메시지를 주던가. 원하는 요구사항을 주던가 여러가지 방법을 썻는데,
한두번 안에 에러를 풀지 못하면 하드코딩으로 문제만 회피하는 식의 방법이 등장했다.
결국엔, 직접 에러를 찾아서 전달해주니 고쳐줬다.
최종적으로는 디자인도 수정했고, 기능도 추가완료했다.
조금씩 업데이트 해나가야겠다.
https://github.com/yangseungsang/plasset
GitHub - yangseungsang/plasset: 위치기반 자산관리 시스템
위치기반 자산관리 시스템. Contribute to yangseungsang/plasse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일상과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ebookLM - 유튜브 요약하기/ 해외 유튜브 튜토리얼을 한글로 공부하기 (0) | 2025.04.06 |
---|---|
Gemma3 사용 후기 - 만족스러운 역대급 성능 (0) | 2025.03.30 |
MySQL 실습환경 구축하기 (Docker 와 MySql Workbench) (2) | 2024.12.01 |
프로그래밍 성장일기 - 중간고사 시험 공부 (2) | 2024.06.08 |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 (0) | 202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