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프로그래밍
- 책
- 개발자도서
- 도서
- dart
- flutter
- 개발자
- 리눅스
- 위젯
- python
- 수학 애니메이션
- 다트
- linux
- 가상환경
- command
- 유데미 러닝크루
- 한빛미디어
- 디자인패턴
- 유데미
- 코딩
- vscode
- Code Generation
- 플러터
- 개발
- manim
- 파이썬
- 도커
- docker
- 명령어
- ai
- Today
- Total
승상의 코딩 블로그
리눅스 네비게이션 - 파일 시스템 구조 본문
파일 복사, 삭제, 이동 등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폴더를 이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폴더 간의 이동뿐 아니라 리눅스를 좀 더 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파일 시스템과 파일 계층을 이해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리눅스 파일시스템 폴더 구조
OS 는 디스크에 제공된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기능이 있다.
파일이란 저장하는 문서, 폴더 등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자.
왜 파일 시스템이 필요한걸까?
데이터는 디스크에 기록될 때, 0과 1을 나열하여 저장한다.
그래서 이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고, 파일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파일' 이라는 단위로 작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했다.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은 "/(루트 디렉토리)" 에 모두 담겨져 있다.
하위폴더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나눠져 있으며, 위의 일부 폴더는 개인적으로 알아둬야한다고 생각한다.
디렉토리 | 설명 |
bin | 이진 바이너리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토리이다. 우리가 ls, cd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bin 디렉토리에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
home | home 디렉토리는 사용자 정보가 들어있다. 각 사용자마다 고유의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user1, user2, user3 의 사용자는 각자의 Desktop, Download 등의 디렉토리를 가지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
root | 시스템을 총괄하는 "root"(슈퍼 계정)의 home 디렉토리이다. ("/"(루트) 와는 다른 의미이다) |
dev | 컴퓨터가 연결된 디바이스 장치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디렉토리이다. |
var | 시스템 운영중에 발생한 데이터와 로그가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 |
/(루트) 디렉토리
위에서 보듯, 리눅스는 /(루트) 디렉토리에 모든 파일이 담겨져 있다.
/(루트) 디렉토리에 시스템의 수많은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루트) 에 접근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CLI(Command Line Interface)(ex. Terminal, ...) 을 사용하지 않고(명령어를 통하지 않고), 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루트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다양한 폴더를 조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많다.
GUI 는 우리가 명령어를 사용하는 부분을 편리하게 제공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단적인 예가 바로 /(루트) 디렉토리에 접근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GUI 를 통해서는, 위 사진의 사이드바에 보이는 Home 디렉토리 상위폴더로 갈 수 없다.
(물론, "xdg-open /" 명령어를 통해, 상위 디렉토리를 GUI 로 접근할 수 있다.)
~(홈) 디렉토리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home 디렉토리)
GUI 를 통해, 들어갈 수 있었던 제일 상위가 Home 디렉토리이다.
헷갈릴 수가 있는데, GUI 로 접근했던 Home 디렉토리는 home 디렉토리(루트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가 아니다.
home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계정의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즉, 내가 user1 의 계정으로 접근했다면, GUI 로 접근한 Home 디렉토리는 "/(루트) 디렉토리 -> home 디렉토리 -> user1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리눅스에서는 현재 계정의 home 디렉토리를 ~ 로 표시한다. ("/(루트) 디렉토리 -> home 디렉토리 -> user1 디렉토리")
'Linux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검색 명령어 - grep (0) | 2023.01.24 |
---|---|
리눅스 네비게이션2 - 기초 명령어(pwd, ls, cd)와 경로(relative path, absolute path) (0) | 2022.12.20 |
리눅스 파일 출력 명령어 3 - head/tail (0) | 2022.12.18 |
리눅스 파일 출력 명령어 2 - less (2) | 2022.10.01 |
리눅스 파일 출력 명령어 - cat (0) | 2022.10.01 |